10분전
커제 이세돌을 꺽은 알파고는 상대도 안되는 알파제로를 아시나요? 본문
알파고 리 > 알파고 마스터 > 알파고 제로 > 알파 제로 > ??
2016년 3월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바둑계는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여기까지만 얘기해도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겠지만, 바로 이세돌과 알파고의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에서 4:1이라는 스코어로 바둑을 인간초고수에게 이긴 결과 때문입니다. 이후 알파고는 세계 1위 커제 9단 까지 3:0으로 완승 합니다. 이후의 인공지능 알파고는 어떻게 성장했을까요? 알파고 이후의 딥마인드 인공지능의 계보를 알기 쉽게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결과부터 말하자면 알파고는 더 강한 상대 A에게 완패했고, 그 상대 A는 더 강한 상대 B에게 완패합니다. 여기에서 A는 알파고 제로, B는 알파 제로입니다. 이세돌과 과 붙었던 인공지능은 그냥 알파고라고만 알려져 있지만 풀네임은 '알파고 리'입니다. 알파고 리가 업그레이드 되서 커제 9단과 완승한 모델은 '알파고 마스터'입니다. 구글의 딥마인드는 버전마다 알파고의 특성을 나타내는 이름을 붙입니다. 이세돌을 이겼기 때문에 '알파고 리', 바둑을 마스터했다는 의미로 '알파고 마스터'의 이름이 붙은 것입니다. 알파고 리와 알파고 마스터는 같은 인공지능이 더 학습해서 이룬 성과로서 사실 같은 시스템의 인공지능인 샘입니다.
이후 알파고 제로라는 인공지능이 나옵니다. 이전 버전의 알파고와 다른 점은 인간의 기보를 제공받지 않았다는 점입니다. 원래 알파고는 인간고수들의 기보 16만건을 토대로 학습을 했습니다. 그러나 제로라는 이름처럼 인간에게 제공받은 지식의 도움이 없이 바둑의 규칙만을 알려줍니다. 그리고 강화학습으로 스스로와의 대국만으로 실력을 향상시켜 갑니다.
결과는 이세돌을 꺾었던 '알파고 리'를 72시간만에 100전 100승 해버립니다. '알파고 리'는 이세돌과 대국을 하기전에 7개월간의 학습을 했었습니다. 그리고 커제를 꺾었던 '알파고 마스터'를 21일째에 따라잡습니다. 전문가들은 알파고 제로가 기존의 알파고보다 빠르게 성장한 이유에 대해서 '바둑을 사람처럼 둔다는 것은 인공지능에게 좋은 일이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이처럼 막강한 실력을 가진 알파고 제로는 알파 제로에게 완패합니다. 이름에서 고(바둑)'이 빠진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알파제로는 바둑대결을 위해서 개발되었던 알파고 시리즈와는 달리 범용으로 학습이 가능합니다. 바둑은 물론 다른 여러 게임을 룰만 알려주면 독학으로 깨우치고 스스로 학습합니다.
알파제로는 학습 2시간만에 2016년 장기 챔피언 인공지능 '엘모'를 90승 2무 8패로 이겼습니다. 체스는 2017년 챔피언 인공지능 '스톡피시'를 학습 4시간만에 28승 72무 0패로 이깁니다. 2018년 1월에는 스톡피시의 최신버전에 생각할 시간을 10배 더 주는 핸드캡으로도 압승을 거둡니다. 그리고 알파고 제로를 상대로 30시간만에 승률 61%를 거둡니다.
더 놀라운 사실은 알파제로가 경지에 오른 후엔 '인간적'으로 게임을 진행했다는 점입니다. 체스의 경우 1997년 인간에게 이긴 딥블루 이후 컴퓨터가 최강자의 자리에 있었는데 컴퓨터만의 완벽한 방어에 기댄 인간미 없는 게임일 뿐이었습니다. 그러나 알파제로는 독창적인 수를 개발하고 예상치 못한 수를 두며 위험을 감수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기존의 컴퓨터가 그저 알고리즘에 의한 숫자의 나열이라면 알파제로는 체스는 게임이라는 측면을 감안하는 모습이 아닌가 합니다.
앞으로 인공지능은 더욱더 발전할 것이고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것입니다. 그러나 알파제로의 예를 볼 때 인공지능은 인간보다 훨씬 뛰어난 판단력으로 결정을 내리겠지만 어째서 그러한 결정을 내렸고 그 결과가 어떤 방식으로 좋아질 것인지는 사실 인공지능만 알게 되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바둑에서 어떤 수를 두었을 때 왜 그 수를 두었는지는 인공지능을 만든 사람도 알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공상과학 소설에서 나오듯이 인공지능이 계산했을 때 인류가 필요없는 존재라는 판단을 내리고 이 판단이 인류가 알지못하게 해야 한다는 결정이 내려지면 어떻게 대처할 수 있을지 으스스한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늘 그렇듯이 우리는 항상 답을 찾아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