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8)
10분전
인공지능(AI)에 대한 우려와 경고 인공지능 기술이 사회전반에 적용되는 시점에 대해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3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평균 12.7년 뒤가 될 것이라는 결과를 내놨습니다. 더불어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으로 일자리와 사회적 구조에 큰 변화가 있으리라 예상하지만 이에 대비한 정책이나 제도는 구체적으로 마련돼 있지 않은 상황이며 국가가 적극적으로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내놨습니다. 필요한 제도에 대해서는 전문가들은 데이터 활용을 위한 규제 문제를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꼽은 데 비해 일반인 그룹에선 ‘일자리 훈련’과 ‘(AI) 안전기준 마련’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인공지능 발전에 대해 인공지능이 잘못된 생각을 할 수 ..
우리나라는 인공지능에 대해서 사실 그리 큰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지는 분위기가 아니었습니다. 어떤 계기로 인해서 거의 모든 국민들이 이제는 인공지능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아시다시피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이 바로 그것입니다. 대결 전에는 바둑계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국민들이 이세돌의 승리를 예측 했습니다. 컴퓨터에 대해서 좀 안다는 사람들 조차도 어색한 움직임과 가끔씩 어이없는 플레이를 하는 컴퓨터를 인공지능이라고 부르고, 인공지능이란 이런것이라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결과는 사람들의 상식과 전혀 달랐습니다. 이세돌9단이 겨우 완패를 면한 1승만을 했기 때문입니다. 이때부터 대체 인공지능이 뭐길래 경우의 수가 거의 무한에 가깝게 느껴졌던 바둑조차 인간을 뛰어넘은 것인가 궁금해 하기 시작했습니..